고객센터

customer center

070.8868.6303

<섬들> 조화로운 자연과 불협화음의 가족 - 정민아

정민아 (영화평론가) 

이 영화는 낭만적인 실리 섬에서 이루어진 한 가족의 여행 이야기이다. 에드워드가 아프리카로 자원활동을 떠나기 전, 엄마는 가족들과 좋은 추억을 가지고 그가 떠나도록 가족여행을 계획한다. 딸 신시아는 가족 구성원으로서의 의무를 다하고자 강제로 따라왔지만, 아버지는 함께 하지 않았다. 요리사 로스는 이 데면데면한 가족과 함께 지내는 게 불편해도 그들에게 맛있는 식사를 해주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 세 명의 가족은 각기 산책하거나, 자전거를 타거나, 소풍을 가거나, 유화를 배우면서 시간을 보낸다. 섬 주변 곳곳에 자리한 아름다운 자연 풍경은 광활하지만, 우울한 가족의 내면처럼 잿빛으로 펼쳐진다. 그들은 식사 전 거실에 대기하거나 식사할 때 정도만 함께 모고 대화는 거의 없다. 그러나 이 서먹서먹한 자리에서 언젠가는 곧 터지고야 말 듯 긴장감이 내내 감돈다. 가족 내부에는 깊고 깊은 균열만이 자리한다.

아프리카에서 1년간 생활할 에드워드는 불안해하지만 가족들과 나누지 못하고, 그는 늘 요리사 로스와 대화한다. 엄마는 주로 그림 선생님과 대화를 나눈다. 싸우지는 않지만 시큰둥한 가족보다는 가족이 아닌 사람과 거리를 유지하며 소통하는 게 훨씬 편안해 보인다. 언제 터질지 모를 불안한 무드를 담고 있는 영화의 톤 역시 음울하다.
가족간의 오해와 소통 불가라는 이 심오한 이야기는 건조한 영화적 기법으로 완성된다. 영화는사건을 점진적으로 쌓아 올려가며 서사를 구축하지 않고, 산발적으로 시퀀스들이 배열되는 미니멀리즘을 채택한다. 카메라는 고정되어 있고 딥포커스의 롱테이크로 풍경 안에 사람을 작게 배치하며, 사운드는 철저히 현장음으로만 구성하여 자연주의를 성취해나간다. 거친 바람소리와 큰 파도소리, 나뭇잎이 서로 사각사각 스치는 소리에서 커트하여 바로 실내로 들어가면 갑작스러운 정적에 우리는 순간 멍해지게 된다. 언젠가 표면으로 올라올 심리적 균열은 즉흥연기와 즉흥연출로 인해 더욱 사실적으로 다가온다.

침묵이 주는 낙담과 소통의 불협화음을 보여주는, 아프고 불편한 현대 중산층 가족의 초상인 <섬들>은 글자 그대로 섬 같이 고립된 개인들을 묘사한다. 자연조명으로 더더욱 침울한 분위기가 조성되고, 실내 미장센은 텅 비어 있어 인물들 내면의 황량함은 배가된다. 레스토랑에서 자리 하나 잡는데도 오랜 시간이 걸리고 음식은 입에 잘 맞지 않는 딸, 몇 번 전화통화는 하지만 결국 오지 않을 아버지, 대화 없이 떠나버릴 아들, 이 모든 것에 불평의 말조차 꺼내기 힘든 엄마. 영화가 밝은 컬러유화에서 시작해서 건조한 흑백그림의 클로즈업으로 끝을 맺으며, 시작과 끝에서 시끄러운 헬기 소음이 자연의 조화로운 사운드를 방해하듯이, 현대 중산층 가족의 아프고 건조한 현실은 출구가 없어 보인다. 감독이 잡아내는 풍경의 경건함과, 이야기를 인내하며 끌어가는 고집스러운 방식은 구도자적 자세가 없었다면 이루기 힘든 성취였을 것이다.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관리자

등록일2011-12-18

조회수3,977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스팸방지코드 :
번호제목등록자등록일조회수
292[남유랑의 시네마 크리티크] ― 정주와 여행, 그 어느 편도 될 수 없는 <소공녀>의 존재양식, 그리고 우리의 실존에 대한 물음.

서성희

2018.10.094,011
291 [서성희의 시네마 크리티크] 짝사랑 열병을 앓는 이태경의 얼굴 <제 팬티를 드릴게요>

서성희

2018.10.093,935
290[정동섭의 시네마 크리티크] <월터 교수의 마지막 강의> ― 비루한 세상에 맞선 철학

서성희

2018.10.093,924
289[장석용의 시네마 크리티크] 구로사와 기요시 감독의 <산책하는 침략자, Before We Vanish> - 외계인의 지구침략을 가정한 언어공포물

서성희

2018.10.093,800
288[이수향의 시네마 크리티크] 만들어진 가족과 도둑맞은 가족-영화 <어느 가족>

서성희

2018.10.094,442
287[서곡숙의 시네마 크리티크] <비포 선라이즈> ― 관계에 대한 성찰의 여정과 사랑의 서막

서성희

2018.10.093,545
286[최재훈의 시네마 크리티크] 가면의 쌩얼 - <프랭크>

서성희

2018.10.093,556
285[이호의 시네마 크리티크] 백범을 만드는 힘과 배치들 ― 영화 <대장 김창수>

서성희

2018.10.093,972
284[안숭범의 시네마 크리티크] 차이의 효과, 혹은 홍상수의 여자: <누구의 딸도 아닌 해원>, <클레어의 카메라>

서성희

2018.10.094,146
283[정재형의 시네마 크리티크] 무의미의 의미, 실존적 부도덕 인간의 부활 - 요르고스 란디모스 감독 <킬링 디어>

서성희

2018.10.094,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