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센터

customer center

070.8868.6303

[강유정의 시네마 logue] ­‘슈퍼 에이트’<세계일보>

영화 보고 자라난 할리우드 키드…추억과 성장담 고스란히 담겨
  • 할리우드에서 자라난 할리우드 키드는 어떤 영화를 만들까? ‘슈퍼 에이트’는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주는 듯싶다. 배경은 1979년 음모론 사상 가장 흥미로운 소재 중 하나인 51구역 외계인 은폐설에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뿐만 아니다. 주인공이라 부를 수 있을 소년의 어머니는 사고로 세상을 떠났고, 아이들은 8㎜ 영화제에 출품할 작품을 찍느라 여념이 없다. 어머니의 사고 때문에 사이가 불편한 앨리스라는 아이가 유일한 여자 배우로 출연하고, 모락모락 첫 사랑의 두근거림도 피어난다.

    눈치챘겠지만, 이 이야기들 안에는 ‘E.T’ ‘X-파일’ ‘구니스’ ‘캐빈은 열두 살’ ‘스탠 바이 미’ ‘배드 테이스트’까지 영상물의 이미지들이 혼합되어 있다. 외계인이 등장한다는 점에서는 ‘E.T’가 떠오르지만 여섯 명의 아이들이 스펙터클한 모험을 한다는 점에서는 ‘구니스’와 더 닮아 있고, 끝까지 몸을 숨기는 외계인에 대한 접근법은 에이브람스 감독이 제작했던 ‘클로버 필드’의 흔적이 엿보인다. 말하자면, ‘슈퍼 에이트’에는 20세기를 영화와 함께 성장한 사람의 추억들이 모조리 담겨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슈퍼 에이트’에서 가장 중요한 설정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1979년이라는 시대적 배경이다. 1979년이기에 이제야 사람들은 워크맨을 듣기 시작했고, 8㎜ 카메라로 소중한 추억을 담는 데 열중했다. 2000년대처럼 휴대전화로 소식을 알리거나 전화를 하다 갑자기 동영상을 촬영하는 일은 불가능하다. 무전기로 소통하고, 소문은 더디게 전달된다. 그 느린 속도감 가운데 외계인에 대한 목격설과 음모론이 공존할 수 있다. 느리게 바뀌었던 세상에 대한 향수, ‘슈퍼 에이트’에는 이 미국식 복고의 감정이 한가운데 자리 잡고 있다.

    8㎜ 영화에 대한 애착이 가장 눈에 띄는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이다. 사실 아이들끼리 서로를 구하거나 외계인을 목격하고 도와주는 설정은 이미 스티븐 스필버그가 80년대에 성취한 바라고 할 수 있다. ‘슈퍼 에이트’에서 일궈 낸 독특한 가치라면 그것은 바로 영화에 의해, 영화를 위해 성장한 내추럴 본 할리우드 키드를 그려냈다는 데에 있다.

    자신들만의 작품을 만들기 위한 소년들의 열정은 장난 수준을 넘어선다. 몰래 무선으로 접선해 철로변 폐가에서 촬영하는 모습은 첫사랑에 미쳐 밤마실을 다니는 청년의 열정과 다를 바 없다. 어설프지만 특수분장과 효과, 조명 등이 분리된 그들만의 스태프 시스템도 그렇다. 영화 촬영 중 마침 열차가 지나간다는 데에 흥분한 아이들이 그 장면을 담기 위해 동분서주하는 것도 사실상 진짜 영화 현장과 그다지 다를 바 없다. 찍을 수 있다면 어떻게든 욕심을 내는 꼬마 감독의 캐릭터에도 감독 놀이 이상의 꿈과 열정이 담겨 있다.

    본 영화가 끝나고 난 후 엔딩 크레디트가 올라가는 동안 상영되는 그들의 작품 ‘사건’은 그래서 놓치지 말아야 한다. 필름 누아르, 조지 로메로의 좀비물에 대한 절대적 숭앙은 거친 편집과 카메라 워크 사이에 그대로 드러난다. 마찬가지로 ‘슈퍼 에이트’ 전편에는 대중 영화의 꿈을 키워 주었던 스티븐 스필버그에 대한 오마주가 자리 잡고 있다. 동화책이 아니라 영상물을 보며 꿈과 희망, 첫사랑을 일궜던 할리우드 키드의 추억과 성장담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것이다.

    문자로 이루어진 문화계를 구텐베르그 갤럭시라고 부른다면 달 위를 지나는 자전거의 이미지로 재현된 우주 이미지는 스필버그 갤럭시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우주에 대한 막연한 동경과 공포를 아이들의 우정으로 해석해낸 스필버그 갤럭시는 아직껏 유효한 듯싶다. 어쩌면 관객은 3D의 화려한 시각체험이 아니라 감독의 고유한 우주 활용법을 만나고 싶은 것인지도 모른다. 그런 점에서, J J 에이브람스는 스필버그의 아날로그 갤럭시를 새로운 디지털 기술로 번역해낸 가장 충실한 제자라고 할 수 있다.

    영화•문학평론가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관리자

등록일2011-06-27

조회수4,585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스팸방지코드 :
번호제목등록자등록일조회수
272[송아름의 시네마 크리티크] 소비되는 청춘과 곡해되는 청년 - <버닝>의 공허한 칼날에 대해

서성희

2018.10.094,499
271[손시내의 시네마 크리티크] 아녜스 바르다와 JR이 찾은 얼굴들과 장소들, ‘바르다가 사랑한 얼굴들’

서성희

2018.10.094,318
270[정재형의 시네마 크리티크] 여성들이 누리는 통쾌함을 위하여 - <오션스8>(2018)

서성희

2018.10.094,855
269[지승학의 시네마 크리티크] 공포로 사랑 그리기

서성희

2018.10.093,999
268<숨바꼭질: 어둠의 속삭임> ― 사라지는 아이들과 복수의 제의

서성희

2018.10.094,153
267 [남유랑의 시네마 크리티크] 영화 ‘거룩한 분노’ ㅡ “짙은 암흑 속에서 핀 작은 불씨, 점점이 타올라 어둠을 삼키고, 마침내 제 얼굴을 배꼼이 들이밀다”

서성희

2018.10.094,661
266[정동섭의 시네마 크리티크]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 ― 청춘은 노년을 지켜낼 수 있는가?

서성희

2018.10.094,194
265[이대연의 시네마 크리티크] 선의로 가득한 메르헨의 세계 ‘프린스 앤 프린세스’(미셸 오슬로, 1999)

서성희

2018.10.094,308
264[서성희의 시네마 크리티크] ‘밤쉘’(Bombshell) : 과학자와 섹시한 여성 사이

서성희

2018.10.093,569
263 [최재훈의 시네마 크리티크] 누가 더 나쁜 인간인가에 대한 지옥도 ‘사이비’

서성희

2018.10.093,6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