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센터

customer center

070.8868.6303

[서성희의 시네마 크리티크] 무사히 할머니가 되고 싶은 두 자매 이야기 <어른이 되면>


 

다른 사람을 돌본다는 것

바쁜 부모님과 큰언니를 대신해 발달장애인 동생 혜정을 돌보는 것은 언제나 혜영의 몫이었다. “혜정이의 언니가 된다는 것은 내가 되는 것을 포기한다”는 뜻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다 혜정이 열세 살 되던 해, 장애인 수용시설로 보내진다. 당시 사회에서 혜정은 온전히 한 가족만의 책임이었고, 그 가족의 뒤에는 아무도 없었다. “왜 누군가를 돌본다는 것이 다른 누군가가 자신의 삶을 포기해야 한다는 뜻이 되어야 할까?”

 

진짜 나의 시간을 찾는다는 것

그렇게 혜정이 13살이 될 때까지 함께 산 가족은 부모의 이혼으로 뿔뿔이 흩어지게 된다. 혜정은 장애를 가지고 태어났다는 이유로 자신의 의지와 아무상관 없이 가족의 결정에 따라 혼자 외딴 산꼭대기 건물에서 낯선 사람들과 살아왔다. 18년이 지난 후, 혜정은 혜영과 함께 시설 밖에서 살기로 한다. “혜정이와 같이 살기 위해서는 두 개의 시간이 필요하다. 하나는 나의 시간이고 다른 하나는 혜정이 언니로서의 시간이다. 혜정이를 시설로 보낸 대가로 얻어진 시간이 아니라, 우리가 함께 살아갈 수 있음을 전제로 하는 진짜 나의 시간을 찾고 싶었다.”

 

영화는 장애를 극복하고 무언가를 성취해낸 위대한 이야기거나, 장애로 하루하루를 불행하게 살아가는 가슴 아픈 이야기가 아니라, 시설 밖에서 함께 살기로 한 자매의 일상에 관한 성장담을 담고 있다. 처음 혜정이와 살면서, 혜영은 동생 혜정에게 무언가를 끊임없이 요구한다. 사실 혜정의 행동은 정상과 비정상의 눈으로 재단하려고 하면 대부분이 고쳐야 할 행동뿐이다.

그러나 혜정이가 춤추기를 좋아하지만 모든 춤을 좋아하는 건 아니다. 혜정에게도 어떤 춤은 좋아할 수도 어떤 춤은 싫어할 수도 있는 취향과 생각이 있다. 영화는 혜정을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담아내는 카메라처럼 ‘혜정다운’ 모습을 그대로 바라보면, 우리가 얼마나 많은 편견으로 사람들의 행동을 쉽게 재단하고 고치려 드는지 느끼게 한다.

 

촬영 스탭 은경이 장애인을 대하는 방법을 몰라 당황하는 모습도 일맥상통하는 장면이다. 비장애인은 장애인에게 친절한 사람이 되어야겠다는 심리적 기제가 있고, 장애인의 행동에 부정적인 감정이 드는 것이 스스로 불편하거나 두렵기도 하다. 장혜영 감독은 “비장애인을 잘 대하는 방법이 따로 없듯이 장애인을 잘 대하는 방법도 따로 없다. 인간에 대한 예의만 필요할 뿐이다”라고 이야기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탈시설’이 가능해지려면 많은 사람의 관심과 도움이 필요하다. 이 관심과 도움 중에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국가의 복지제도’일 것이다. 비슷하게는 <나, 다니엘 블레이크>(켄 로치, 2016)에서 약자와 소외계층의 안전망이 되어야 하는 복지정책이 운영자 위주로 전락한 현실을 드러내듯이, <어른이 되면>에서도 공적 자원 시스템의 획일화 문제를 드러낸다. 하지만 이 영화는 문제의 초점을 현재 우리 사회가 진정으로 장애인 개인을 사회 구성원으로 받아들일 준비가 됐는지에 관한 질문에 더 집중한다.

 

무사히 할머니가 될 수 있을까

무사히 할머니가 될 수 있을까
죽임당하지 않고 죽이지도 않고
굶어 죽지도 굶기지도 않으며
사람들 사이에서 살아갈 수 있을까

 

누구에게나 사회에서 자립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상대적으로 열등하다는 이유로 분리하고 격리당하고 사회가 정한 기준을 충족한 사람에게만 잘살 가능성과 기회와 권리가 주어지고, 내가 못살고 불행한 이유는 내 탓이라고 생각하기를 강요하는 사회, 이 사회에서 우리는 ‘무사히 할머니가 될 수 있을까.’

이 고민을 함께한 순간부터 사회가 규정하는 열등이 불행과 한 세트가 아닐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같은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의 인간적인 삶 없이 우리에게도 인간적인 삶은 없다.”

영화 <어른이 되면>은 혜영이 부르는 노래의 가사처럼 자매가 “무사히 할머니가 될 수” 있도록 우리 사회에서 ‘함께 살아가는 삶’에 관한 중요하지만 무겁지 않게 질문하는 아름다운 미덕을 듬뿍 담고 있다.

글: 서성희
영화평론가. 대구경북영화영상협동조합 이사장으로 독립영화전용관 오오극장 대표이자 대구단편영화제 집행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 글 출처: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 르몽드 시네마 크리티크

http://www.ilemonde.com/news/articleView.html?idxno=9347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서성희

등록일2018-12-31

조회수5,648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스팸방지코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