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센터

customer center

070.8868.6303

영화평론지

[스페셜] <다이빙벨> 배급한 김일권 시네마달 대표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심증과 정황은 이미 충분하다. 이젠 물증이다. 특검도 문화예술계의 블랙리스트의 실체를 파헤치기 위해 수사에 들어갔다. 그에 앞서 세상에 공개된 고 김영한 전 청와대 민정수석의 업무 수첩(이하비망록)이 또 하나의 중요한 단서였다. 비망록에는 세월호 관련 다큐멘터리 <다이빙벨>(2014)에 대한 언급이 있다. <다이빙벨>을 상영한 제19회 부산국제영화제와 배급사 시네마달의 이름이 확인됐다. 그 일부를 옮겨보자. ‘長’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 지칭), ‘시네마달 內査(내사)’ . 시네마달은 2008년 문을 열고 독립다큐멘터리를 집중 제작·배급해왔다. 독립영화에 관심 있는 독자들에게는 그나마 낯이 있겠지만 상당히 많은 영화 관객에게는 이름조차 생소한 곳이다. 대표를 포함해 전 직원이 5명인 독립 제작사에 청와대가 직접 내사까지 지시한 것이다. 시네마달의 김일권 대표가 <씨네21>과의 인터뷰로 이와 관련된 내용을 처음으로 전한다. 그간 <다이빙벨>과 관련해서는 공식적인 인터뷰를 일체 하지 않았다. 김일권 대표가 이 시점에 <다이빙벨> 배급을 둘러싼 논란에 대해 말을 하게 된 이유를 들을 수 있었다. 인터뷰는 <다이빙벨> 배급 이후 회사 규모를 대폭 줄여 새로이 정착한 종로구 명륜동의 시네마달 사무실에서 진행됐다.

-청와대의 시네마달 내사와 관련해서 처음으로 인터뷰한다.

=이런 유의 문제라면 사실 <다이빙벨> 배급 이전부터 있었다. 이명박 정권 말기부터 멀티플렉스 극장 상영 지원사업에서 시네마달은 계속해 배제돼왔다. 그땐 적어도 노골적이진 않았다. 박근혜 정부에 와서는 ‘세월호’와 관련된 영화나 반정부적, 반재벌인 내용의 영화라고 판단되는 작품들뿐 아니라 시네마달 이름으로 지원한 사업들에서 줄줄이 떨어졌다. ‘시네마달은 어차피 지원사업에 지원해도 안 될 테니 회사명을 바꿔 지원하라’는 말까지 들었다. 영화진흥위원회(이하 영진위)가 시네마달이나 내 이름이 들어가 있는 지원사업의 내용을 정리해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에 제출한 걸로 안다. 이제야 비망록을 통해 확인됐을 뿐 이런 상황은 이미 알고 있었다.

-비망록 2014년 9월5일 메모에는 청와대가 당시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간사였던 신성범 새누리당 의원에게 국감장에서 <다이빙벨>의 영화제 상영과 관련해 성토를 당부했음이 드러났다(주석1). 9월20일에는 <다이빙벨>의 영화제 상영을 예상했고, <다이빙벨> 상영, 대관료 등 자금원을 추적하고 실체를 폭로하라고 돼 있다. 그때 시네마달의 상황은 어떠했나.

=2014년 9월 <다이빙벨>의 배급을 결정하고 부산국제영화제 상영을 준비하고 있었다. 영화제 상영 때는 매진이 돼 가보니 좌석이 텅 비어 있기도 했다. 2014년 10월23일 개봉 때 멀티플렉스관 단 한곳도 스크린을 열어주지 않더라. 개봉 첫날 전국 20개 극장에서 상영했다. 어떤 극장들인지 문체부를 통해 청와대에 보고된 걸로 안다. 이때 이들 극장이 영진위나 문체부로부터 지원금을 받았는지 여부까지도 조사됐다. 정확히 말하자면 청와대는 <다이빙벨>을 ‘세월호’ 그 자체로 본 거다. 지금도 그렇지만 당시 세월호는 큰 아픔이었고, 해결돼야 할 점들이 많은 투쟁 중인 사안이었다. 정부가 세월호와 관련된 일이라면 어떤 수를 써서라도 막겠다는 강한 액션을 취한 거다. 세월호야말로 현 정권의 도덕성과 정치력의 아킬레스건이었으니까. 그걸 건드리려 한다면 가만두지 않겠다는 거다. 국가의 문화정책 전체 파이에서 독립영화 지원이 얼마나 되겠나. 그 미미한 지원 안에서 시네마달처럼 영세, 미생 기업까지 털어서 김기춘과 청와대로 보고한다는 게 얼마나 웃긴 일인가. ‘문화융성, 창조경제’를 외치던 이들이 관심조차 기울이지 않았던 곳인데 말이다.

-비망록에는 10월23일 ‘시네마달 內査(내사)’가 적혀 있다. 이와 관련해 시네마달이 파악하고 있는 구체적인 증거들이 있다면 밝혀달라.

=불행하게도 시네마달이 너무 가난해서 뒤져서 뭐가 나올 만한 곳간이 아니다. (웃음) 함께 일하는 동료들의 노동력을 기반으로 운영비도 안 나오는 수익 구조를 유지한 지 꽤 됐다. 통장을 뒤졌다고 하는데 개인정보열람 조회를 해서 그걸 증거 자료로 특검에 제출할까 싶기도 하다. 직원들 휴대폰 감청 기록도 있다. 대부분이 <다이빙벨> 개봉 전후와 이후 시네마달이 배급한 세월호 관련 다큐멘터리들인 <나쁜나라>(개봉 2015년 12월3일), <업사이드 다운>(개봉 2016년 4월14일)의 개봉 전후에 집중됐다. 회사로서는 각종 지원사업에서 노골적으로 배제된 것이야말로 더 큰 타격이다. 시간이 지날수록 경제적으로 힘들어지니까 할 수 있는 일의 범위도 줄어들고 직원들도 위축될 수밖에 없다. 돈줄을 끊어버리는 방식이다. <다이빙벨> 전후로 정부의 영화 정책에 상당한 변화가 생겼다. 가족영화제작지원사업(주석2), 예술영화 유통·배급 지원사업(주석3)이란 희한한 것들이 생겼다. 독립영화계에 가해진 박근혜 정부의 탄압과 밀어붙이기의 실제적인 강도, 그 데미지가 상당하다.

-<다이빙벨>을 둘러싼 외압과 파장은 영화의 배급 이전에 이미 어느 정도 예고돼 있었던 셈이다. 그럼에도 배급을 포기하지 않은 이유가 분명 있을 것이다.

=<다이빙벨>은 세월호 참사를 다룬 첫 번째 다큐멘터다. 무조건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세월호는 나에게도 충격적인 참사였고, <다이빙벨>이 진상을 규명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는 방식이길 바랐다. 참사 이후 빠르게 만들어진 다큐멘터리인 만큼 그에 따르는 변수도 많을 거라 예상했다. 정부의 탄압, 관객에게 세월호 참사의 아픔을 올곧게 전달할 수 있을지의 여부, 세월호 문제보다 배급 과정에 논란이 집중되지 않을까와 같은 우려였다.

-배급에 대한 논란은 어떤 것이었을지 좀더 구체적으로 들어보고 싶다.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관리자

등록일2017-01-03

조회수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