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센터

customer center

070.8868.6303

다시 BORN '파이트클럽'

 

데이빗 핀처 감독의 '파이트 클럽(Fight Club, 1999년 作)

 

이 영화를 본적이 없는 관객은 있어도,

영화를 들어본적이 없는 관객은 드물다.

 

브레드 피트가 연기한 '테일러 더든'은 일군의 설문조사에서 영화 역사상 가장 매력적인 캐릭터 1위의 랭크되었고,

파이트클럽 영화자체는 최대 영화사이트 IMBD에 10위로 랭크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는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칭찬만이 일색인 영화는 아니다.

평단의 호평 혹은 혹평이 굉장히 갈리는 영화 중 하나이다.

 

 

이 영화가 개봉한 1999년

밀레니엄시대라는 지금은 추억이 된 단어가 도래하기 불과 1년전이다.

 

2000년이 되면 컴퓨터에 치명적인 오류가 발생한다.

2000년이 되면 세상이 종말이 온다고 노스트라다무스가 예언했다. 등의

 

지금은 피식 웃고 지나갈만한 치기어린 명제들이 산발하기 시작한 시대이다.

 

'진실 혹은 거짓'이 뒤섞여 있고,

무서운 속도로 발전하는 사회로 인해 수많은 부작용들이 창궐하기 시작하는 해 이다.

 

이러한 시대상을 반영하듯,

영화 속 에드워드 노튼(나레이터 역)은 가구구매 중독자이다. 그리고 심한 불면증과 몽유병을 앓고있다.

그는 자신의 중독을 치료하는 방책으로 모임중독이라는 또다른 중독자가 되기에 이른다.

 

'중독', '불면', ' 우울' 지금은 전혀 어색하지 않은 이러한 단어들이 그 시절엔 굉장한 이질감과 두려움을 발산했으리라..

 

 

영화 말미로 향해가면서 에드워드 노튼은 자신의 분열된 자아를 깨닫는다.

사실 그의 캐릭터 자체가 이 시대의 부작용의 산물 그 자체라 할 수 있겠다.

 

Anyway  브레드 피트와 에드워드 노튼 두 자아는 완벽히 정반대의 사람이다.

 

'자유분방', '정력적', '문명에 대한 염세성', 마초적' 등등

이러한 성향은 에드워드 노튼의 억눌려있는 혹은 간절히 소망하는 자아이다.

그리고 극 중 에드워드 노튼의 캐릭터 자체는 섹스의 충동, 직장인의 삶, 등 무엇인가에 억눌려있는 현대인의 자화상이다.

 

파이트 클럽의 수칙

첫째 클럽에 대해 말하지 않는다.

둘째 클럽에 대해 말하지 않는다.

셋째 싸우다 상대가 기절하거나 소리를 지르면 멈춘다.

넷째 싸움은 1대1로 한다.

 

처음엔 쌓여있는 분노를 표출하는 창구같던 이 클럽은 점점 그 세력이 커지면서 테러집단이 되어 간다.

결국 충격적인 결말로 치닫으며 영화는 마무리 된다.

 

물론 20년이 자난 지금의 관객인 필자에게는 중반부터 눈치를 챌수 있을 만한 반전이었다.

 

 

파이트 클럽은 척 팔라닉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데,

현대문명에 대한 염세적인 자세로 쓰여진 소설이고, 연출된 영화이다.

등장하는 '현대병'환자인 주인공의 모습은 20년이 지난 지금봐도 어색하지 않고, 오히려 더욱더 공감이 간다.

 

영화는 시작부터 스타일리쉬한 편집으로 연출되는데, 지금 봐도 전혀 촌스럽지 않다.

아이러니컬한것은 이러한 편집력이 바로 평단에게 혹평을 받는 지점이라는 점이다.

 

'과유불급'

지나치게 과잉이다라는 평론가의 의견이 즐비한다.

 

필자의 생각을 첨언하면, 그렇기도 하고 아니기도 하다.

어쩌면 억눌려있는 현대인들에 대한 이야기를 연출하는 핀처 본인만큼은 억눌리고 싶지 않아서이지 않았을까?

 

 

마지막으로 배우들의 연기력을 잠깐 언급하면,

영화는 흥행을 했고, 브레드피트의 연기력과 그의 캐릭터는 굉장히 화제가 되었다.

물론 그의 연기력은 훌륭하고, 그의 와꾸는 미친듯한 빛을 발산하지만,

필자는 브레드피트만큼이나 에드워드노튼의 연기력도 훌륭했다고 평한다.

 

둘의 앙상블은 괜찬았다.

 

이 영화를 레전드라고 평하는 누리꾼들이 많다.

하지만 필자는 과대평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평론가 심영섭은 '스타일 과잉, 자의식 과잉, 그래도 핀처는 재주꾼' 이라는 한줄평을 작고했는데, 가장 적합한 문장이라 사려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좋은영화인것은 확실하다.

 

이 영화는 1999년뿐만아니라 현대병환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 2016년인 지금도 굉장히 잘 어울리는 영화이다.

 

★★★☆ (별 3개반)

1999년뿐만아니라 2016년에도 잘어울리는 '현대병' 영화

 

사진 출처 - NAVER

zzyoun(영화평론가 지망생, http://blog.naver.com/zzyoun)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조영기

등록일2017-03-04

조회수6,697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스팸방지코드 :
번호제목등록자등록일조회수
342[정재형의 시네마 크리티크] 가짜의 세상에서 가짜를 노래하다: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사랑을 카피하다'

서성희

2018.12.319,458
341[손시내의 시네마 크리티크] 포장되지 않는 삶, 타마라 젠킨스의 '프라이빗 라이프'

서성희

2018.12.318,203
340[남유랑의 시네마 크리티크] “스릴러라는 불가능한 이름을 넘어서서, 예술 그 자체에 대한 물음을 촉구하는 자리로” - <108: 잠들 수 없는 시간>

서성희

2018.12.316,702
339[장석용의 시네마 크리티크] 리처드 론크레인 감독의 <해피 댄싱> - 황혼 무렵에 풀어보는 삶의 방정식

서성희

2018.12.315,852
338[서성희의 시네마 크리티크] 무사히 할머니가 되고 싶은 두 자매 이야기 <어른이 되면>

서성희

2018.12.315,648
337[정동섭의 시네마 크리티크] 콜롬비아 마약왕에 대한 또 다른 클리셰 - <에스코바르>

서성희

2018.12.315,980
336[송아름의 시네마 크리티크] 그 지긋지긋함에 몸서리치면서도 - <밍크코트>

서성희

2018.12.315,206
335[서곡숙의 시네마 크리티크] <안녕, 나의 소녀 시절이여>

서성희

2018.12.316,440
334[안숭범의 시네마 크리티크] ‘공간-인물’로 읽는 사랑의 유형학- <쓰리 타임즈>로 허우 샤오시엔 읽기

서성희

2018.12.317,147
333[최재훈의 시네마 크리티크] 나그네라도 길 위에서 잠시 쉬어가야 한다, <에브리띵 윌 비 파인>

서성희

2018.12.315,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