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센터

customer center

070.8868.6303

[서성희의 시네마 크리티크] 혹독한 절망과 희망의 담금질 <영주>


‘영주’(김향기)는 교통사고로 부모를 잃고 동생과 단둘이 살아가는 열아홉 살 소녀다. 하나뿐인 남동생에게 밥도 해주고, 빨래도 해주고, 청소도 해주고, 대학까지 보내줘야 한다고 생각하는 책임감 강한 누나인 영주는 자신은 진로를 포기하더라도 동생만큼은 책임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정작 동생 ‘영인’(탕준상)은 대학 진학에 별 관심이 없다. 오히려 영인은 영주의 기대와 다른 방향으로 어긋나기만 한다.

그리고 세상은 교통사고로 부모님을 한날한시에 잃고 동생과 힘겹게 살아가는 열아홉에게 그리 만만한 곳이 아니다. 부모의 빈자리를 채우는 건 세상의 냉대와 감당하기 힘든 암담한 현실뿐이다. 가까운 친척조차 부모의 빈자리를 메워줄 순 없다. 부모님이 물려주신 집이 재개발이 예정되자 고모는 빨리 팔라고 하고, 남매가 거부하자 마찰을 빚게 된다. 거기다 부쩍 커버린 남동생을 감당하기도 쉽지 않다.

 

그러나 무엇보다 문제는 부모님이 곁을 떠날 당시 중학생이었던 영주의 가슴에 깊게 팬 상실과 외로움의 상처를 제대로 메우지 못하고 ‘난 괜찮아’로 방치하며 살아오고 있다. 큰 사고만 아니었으면 그렇게 깊은 아픔을 가슴에 묻어둔 채 무던히 살아냈을지도 모른다. 그런데 하나뿐인 동생 영인이 사고를 쳐 합의금이 필요해진다.

영주는 동생이 소년원에 가는 것만은 막아야 한다고 절박한 심정으로 합의금을 구하기 위해 뛰어다닌다.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 사회가 도움의 손길을 미칠 수 있는 범위는 한정되어 있고, 친척도 때론 남보다 더 매몰차고, 결국 절망 끝에 몰린 영주는 부모를 죽게 만든 가해자를 찾아간다. 자신을 이런 처지에 놓이게 만든 가해자에 대한 원망과 복수의 감정이 묘하게 뒤섞인 복잡한 심정으로 찾아가지만, 가해자 역시 상처를 안고 하루하루 힘겹게 일상을 살아내고 모습을 보며 극한 원망의 마음이 수그러드는 걸 느낀다. 그러나 더 절박한 건 동생의 합의금을 구하는 일이다. 결국 영주는 도둑질이라는 극단의 선택을 한다.

 

그러다 오랫동안 혼자 버텨내는 것에 익숙한 영주는 생각지도 않았던 곳에서 낯선 희망을 만난다. 자신만 모를 뿐이었지, 미워해야 할 대상이 내민 따뜻한 손을 덥석 잡아버릴 만큼 영주는 애정 결핍 상태였다. 영화는 처음부터 영주의 심리적 결핍에 대한 세세한 안내를 한다. 영화가 시작되면 “영인아, 만약에 아빠나 엄마 둘 중의 한 명만 돌아온다면 누구로 할래?” “난 아빠, 나 스무 살 되면 아빠가 나 해외여행 보낸 준다고 했거든”이라며 자신의 속내를 드러내지만 살갑게 받아주지 못하는 남동생과 대화를 나누는 오프닝 장면은 영주가 얼마나 부모의 정과 가족의 관심과 사랑이 그리운지 드러낸다.

혼내고 비난하기만 하는 친척과 달리 영주를 믿는다며 돈을 내밀어주고, 밥을 차려주고, 먹을거리를 챙겨주는 가해자 상문 부부 앞에서 굳게 닫혀있던 마음의 빗장이 스르륵 풀리는 걸 느낀다. 열린 문을 통해 가해자 ‘상문’(유재명)과 그의 아내 ‘향숙’(김호정)의 따뜻한 정이 스며들면서 그제야 영주는 깨닫는다. 지금까지 자신이 가장 역할을 잘 해내야 하고, 자신은 이제 어른이라고 생각했지만, 그건 의젓함과 어른스러움이라는 가면에 불과했다는 사실이다. 영주는 부모의 사랑이 절실히 필요했고, 지금도 자신은 부모의 보살핌이 받아야 할 때라는 사실을 인정한다.

 

애정과 보살핌이 절박한 열아홉 영주는 과거를 덮어두고 현재와 미래의 고단함에서 벗어나고 싶다. 안정과 사랑이 절박한 영주는 자신이 사고 당시 죽은 피해자의 자식이라는 사실을 숨기고서라도 그 관계를 유지하고 싶어 한다. 그러나 영주가 누군지 모르는 상태에서 상문부부와 영주의 관계는 위태롭다. 유사 부모 관계를 유지하는 동안 불안함을 안고 있었지만, 영주는 한동안 느껴보지 못했던 그 편안하고 따뜻함이 내내 지속되기를 바란다.

세상에 홀로 꿋꿋이 서 있기엔 아직 어린 열아홉 살 소녀 영주. 열아홉은 어른과 아이의 경계에 있는 나이이다. 온전히 어른도 아니고 그렇다고 온전히 자신을 책임지기에는 삶의 경험도, 감정 쓰는 방법도 서툴고, 미숙하다. 그래서 낯선 희망, 부질없는 희망을 가슴에 품게 된다. 너무 오랜 시간 절망 속에 살아온 사람은 그 희망의 진위를 가려내지 못한다. 그러나 이 혹독한 희망과 절망의 담금질 속에서 영주는 더욱더 단단해지고 성장해나가리라 믿는다. 영화는 절망도 희망일 수 있고, 희망도 절망일 수 있다는 세상살이의 모진 이치를 영주의 웃음과 눈물을 통해 보여준다.  


글: 서성희
영화평론가. 대구경북영화영상협동조합 이사장으로 독립영화전용관 오오극장 대표이자 대구단편영화제 집행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 글 출처: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 르몽드 시네마 크리티크

http://www.ilemonde.com/news/articleView.html?idxno=9276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서성희

등록일2018-12-31

조회수5,646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스팸방지코드 :
번호제목등록자등록일조회수
292[남유랑의 시네마 크리티크] ― 정주와 여행, 그 어느 편도 될 수 없는 <소공녀>의 존재양식, 그리고 우리의 실존에 대한 물음.

서성희

2018.10.097,026
291 [서성희의 시네마 크리티크] 짝사랑 열병을 앓는 이태경의 얼굴 <제 팬티를 드릴게요>

서성희

2018.10.096,041
290[정동섭의 시네마 크리티크] <월터 교수의 마지막 강의> ― 비루한 세상에 맞선 철학

서성희

2018.10.095,763
289[장석용의 시네마 크리티크] 구로사와 기요시 감독의 <산책하는 침략자, Before We Vanish> - 외계인의 지구침략을 가정한 언어공포물

서성희

2018.10.096,698
288[이수향의 시네마 크리티크] 만들어진 가족과 도둑맞은 가족-영화 <어느 가족>

서성희

2018.10.097,601
287[서곡숙의 시네마 크리티크] <비포 선라이즈> ― 관계에 대한 성찰의 여정과 사랑의 서막

서성희

2018.10.096,450
286[최재훈의 시네마 크리티크] 가면의 쌩얼 - <프랭크>

서성희

2018.10.096,807
285[이호의 시네마 크리티크] 백범을 만드는 힘과 배치들 ― 영화 <대장 김창수>

서성희

2018.10.096,942
284[안숭범의 시네마 크리티크] 차이의 효과, 혹은 홍상수의 여자: <누구의 딸도 아닌 해원>, <클레어의 카메라>

서성희

2018.10.096,329
283[정재형의 시네마 크리티크] 무의미의 의미, 실존적 부도덕 인간의 부활 - 요르고스 란디모스 감독 <킬링 디어>

서성희

2018.10.097,0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