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센터

customer center

070.8868.6303

<만추> - 박유희

박유희(영화평론가)

알려져 있다시피, 이 영화는 한국영화 최고의 걸작으로 회자되는 전설의 영화 <만추>(1966)의 리메이크 작이다. 김기영의 <육체의 약속>(1975)과 김수용의 <만추>(1981)에 이은 세 번째 리메이크 영화에 해당한다. 사흘의 휴가를 허가받은 모범수와 위조지폐범의 시한부 사랑을 다뤘던 원작이 이번에는 미국 사회에서 소외 받은 황인종끼리의 안타까운 교감을 보여주는 이야기로 다시 태어났다. 이를 위해 배경을 한국에서 미국 시애틀로 바꾸고, 신성일 씨의 역할을 현빈이, 문정숙 씨가 맡았던 역을 탕웨이가 소화했다.

영화는 애나(탕웨이)의 살인 장면으로 시작한다. 그녀의 멍든 얼굴과 흐트러진 옷차림은 그녀가 폭행을 당하던 중에 살인을 저질렀음을 일러주고, 그녀가 도망치다 현장으로 다시 돌아가는 것은 죽은 이에 대한 그녀의 책임감을 암시한다. 그로부터 7년 후 그녀는 어머니의 장례를 위해 사흘의 휴가를 허락받아 감옥 문을 나서고, 시애틀 행 버스에 오른다. 그리고 우연히 한국인 지골로 훈(현빈)을 만난다. 누군가에게 쫓기던 훈은 다짜고짜  애나에게 30달러를 빌려달라고 하고는 자신의 시계를 맡긴다. 그 후 훈과 애나는 빌린 돈과 시계를 매개로, 우연히 혹은 고의적으로 마주치기를 반복한다. 그러면서 그들은 언어적?문화적 소통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점차 깊은 교감을 나누게 된다.

원작을 비롯해 이전의 리메이크 작들이 사랑에 있어 ‘육체’의 문제를 중요하게 다뤘다면, 이 영화에서는 ‘정신적 교감’에 초점을 맞춘다. 그래서 이 영화에서 가장 아름다운 부분이자 이전의 <만추>들과 변별되는 것은 두 인물이 대화의 형식으로 혼잣말을 하는 장면들이다. 그 중에서도 중국말이라고는 ‘하오(좋다)’와 ‘화이(나쁘다)’ 밖에 모르는 훈 앞에서 애나가 자신의 가장 비밀스러운 이야기를 털어놓는 장면은 이 영화의 백미이다. 애나가 중국어로 한 단락을 말할 때마다 훈은 ‘하오’와 ‘화이’로 화답해준다. 이는 마치 아카시아 잎의 개수를 떼며 ‘좋아한다’, ‘아니다’를 점치는 놀이를 연상시키는데, 이러한 대화 형식에 애나가 말하는 내용의 비극적 무게가 실릴 때의 아이러니는 묘한 감동을 창출한다. 이 장면은 이후 두 사람이 소통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짧은 시간에 사랑을 깨닫게 되는 결정적인 계기로 작용한다.

그러나 마음이 통하자마자 두 사람은 헤어지게 되고, 2년 후 여자는 출옥하여 남자와 재회하기로 약속한 장소에 가지만, 그때는 남자가 감옥에 있음으로써 어긋나버린다. 이 안타까운 결말은 지금까지 변한 적이 없는데, 그것은 어쩌면 <만추>가 지닌 매력의 요체가 바로 그 안타까움에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는 바꾸어 말하면 결말이 유발하는 정서의 질감이 리메이크 작의 개성을 결정한다고도 할 수 있다.

2010년 <만추>의 결말이 일으키는 정서는 두 사람이 못 만나는 것에 대한 안타까움보다는 애나의 고독에 대한 깊은 연민에 무게가 놓인다. 여기에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애나가 감옥에 가게 된 기구한 사연을 자세히 보여줌으로써 상대적으로 관객이 훈보다 애나에 동일시할 수 있는 장치를 강화했고, 그러한 애나를 탕웨이가 탁월하게 연기했다는 게 핵심일 것이다. 이 영화에서 ‘늦가을’이라는 제목을 살린 것은 탕웨이의 황폐한 표정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늦가을’이라고 하기에는 상대적으로 배우의 나이도 젊고 연출의 터치도 젊었던 이 영화에서 탕웨이의 나이를 넘어서는 원숙함과 폭발력은 진가를 발휘한다.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관리자

등록일2011-12-18

조회수8,626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스팸방지코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