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센터

customer center

070.8868.6303

[지승학] 인간 몰이해의 부작용 - 영화 <반드시 잡는다>

호감이 가지 않는 영화들에는 한두 가지 공통점이 있는데 그 영화들은 인간군상을 기능적으로 판단하여 편견 가득한 기계처럼 다룬다는 점이다. 이성적이고 혈기왕성한 청년이 있으면 연약한 피해 여성이 있고,(영화<청년경찰>) 자린고비식 노년의 시니컬 한 노인들이 있으면, 그 역시 연약한 피해 여성이 있다.(영화<반드시 잡는다>) 몇 몇 관습적 인물들이 서사 속에서 변주되고 호출될 때마다 그 중심에는 키 170을 상회하는, 겉보기에 강건해 보이는데도 여린 여성으로 돌변하여 피해자가 되는 여성이 종종 등장한다. 이런 영화에는 제 아무리 다양한 인물이 등장하는 척해도 보답을 마땅히 해야하는 가녀린 여성의 미소만이 그 결말을 대체할 뿐이다. 인간 존재 깊이나 사회적 해석에는 관심이 없다는 듯 말 그대로 갑작스레 시작되고 갑작스레 끝나는 이러한 영화는 그런 결말로 향하는 서사에만 온 신경을 집중한다. 그렇다고 좋은 영화란 무엇인지 이야기하는 것도 버겁다. 문제는 좋은 영화를 설명하기 버겁다는 것이 아니라 호감이 좀처럼 가지 않는 영화가 이런 식으로 너무 많이 생산된다는 점이다. 

  

영화 <반드시 잡는다>는 사회 편견 속에 갇힌 노인이 그 편견을 깨나가는 영화라고 읽을 수 있다. 물론 감독의 필모그래피를 살펴보면 그가 그런 문제에 큰 관심이 없다는 것쯤은 잘 알수 있으니, 너무 앞서 나간 견해일 수 있다. 게다가 이 감독은 얽히고설킨 이야기, 쫓고 쫓기는 긴박한 장면의 케이퍼 무비-범죄 과정을 상세히 다루며 그 성공과 실패에 집중하는 장르 영화-에 능한 감독 아닌가. 하지만 김홍선 감독의 그 장점은 이 영화에서는 거추장스러운 장애가 돼버린다. 그렇다고 이 영화를 독거노인, 치매 노인 그리고 자린고비 노인이라는 전형적 인물군상이 젊은 20대 여인을 구하려한다는 남성판타지 유형으로 폄하할 생각도 없다. 하지만, 우리 시대에 몇 있지도 않은 연령계층 별 구별 법에 깊지 않은 인간에 대한 표피적 관점이 복잡한 서사구조를 유지하느라 결국 벌어지게 된 부작용으로서 편견 가득한 기계로 내몰리는 배우내지 인물 아니면 인간에 대한 몰이해 현상은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한다. 

  

이러한 지적은 전적으로 감독의 능력 탓이라 할 수 없다. 우리라고 다른가라는 질문이 성립되기 때문이다. 젊은 청년과 젊은 소녀와의 관계(영화<청년경찰>), 늙은 노인과 젊은 여인과의 관계(영화<반드시 잡는다>)가 전형적인 이야기 문법이 되니 계층 간 간극의 골은 더욱 깊어지고 또한 여성은 피해자, 남성은(늙던 젊던) 보호자이자 가해자라는 문법에 갇히게 되니 인간에 대한 고민이 우리에게서 조차 설자리를 잃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곧 노인과 청년, 기성세대와 청년세대, 여성과 남성이라는 대립각을 비정상적으로 생산하여 소모적 논쟁에 휘말리게 만들기도 한다.


현 시대에 두드러지는 이러한 영화적 관습은 우리가 얼마나 ‘인간’이란 의미를 잊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동시에 반성 지점을 제시하기도 한다. 나 역시 인간을 잊고 연령, 계층, 구조 속에 얽힌 명사로서의 청년, 노인, 경찰, 역무원, 의사, 봉사자 등으로 사람을 이해해 오지 않았는가. 

사회가 사람들과의 복잡한 관계로 이뤄져 있고 영화가 그 단면을 깔끔하게 드러내줄 수 있는  능력이 있는 매체라면 우리는 거기에서 과연 무엇을 보아야 하는 걸까? 그것마저 보기 귀찮다거나 무관심으로 일관하면 그것은 곧 사회적 편견으로 언젠가는 다시 되돌아와서 그 책임을 우리게 묻지 않을까? 그것은 우려스러운 일을 넘어 우려스러운 현상으로 고착되고 있다. 그 위험성은 치매 환자가 된 형사가 결국 사건의 해답을 아무리 외쳐도 듣지 않는 덕수(백윤식)와 영화 관객인 우리의 위험성이기도 하다.

상황이 이러하니, 칼과 총에 아무리 베이고 쏘여도 갑자기 나타나 결국 위기에서 구해주는 치매환자 평달(성동일)은 우리 사회가 얼마나 흔들기기 취약한 구조인지를 보여주려 등장하는 허구적 메시아 같기도 하다. 그리고 그 위험은 마지막 결말을 감추고 감추려는 감독의 의도 속에서 소비되어 버려지는  영화 속 수많은 용의자들(특히 평달과 패싸움을 벌이는 20대 불량학생들)이 은밀하게 보여주는 또 다른 메시지이기도 하다.
 
  
 
 
그런 의미에서 이 영화는 호감이 가지 않는 영화이지만, 읽어낼 꺼리가 풍성한 ‘사건’을 전해준다. 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사건’은 영화 속에서 벌어지는 일련의 연쇄 살인사건과 납치 사건 그리고 모방범죄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가해자와 피해자의 관계로만 얽혀 있는 단선적인 인간의 몰이해를 경험하게 하는 ‘사건’으로 그나마 영화적 의미를 회복한다. 오히려 영화 속 인물과 그들이 마주하는 이야기의 성긴 모양새는 우리 사회가 얼마나 사람에 대한 몰이해로 일관하는지, 그리고 그것이 얼마나 취약한 구조 속에 매몰되가고 있는지를 발견하는 순간으로서의 ‘사건’으로 가치를 회복한다는 것이다. 결국 이 영화 <반드시 잡는다>는 60~70대 노인이 20대 여성을 갑자기 구하게 된다는 과정을 보여주는 서사 이면에 우리 사회의 인간 몰이해를 경험하게 해주는 영화라고 말해도 틀리지 않을 것이다. 

요즘 영화의 서사구조는 그 밀도가 촘촘해지기는 했지만, 그 속에서 소비되는 인간의 파편적 이해, 더 나아가 몰이해의 과정이 지나치게 당연한 것이 되어서 오히려 우리가 우리를 바라보는 시선은 퇴행적 행보를 거듭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그래서 비록 이 영화에는 치명적인 단점이 선명하더라도 나는 우리 사회의 계층적 몰이해의 한 단면을 관찰할 수 있었다는 사실만으로도 영화의 가치를 읽어낼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그것이 내가 ‘영화 그 자체’에 거는 기대이기도 하다.


지승학 (영화평론가)
현 고려대학교 연구교수, 문학박사, 2011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영화평론부문 등단. 

글 출처: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 르몽드 시네마 크리티크

http://www.ilemonde.com/news/articleList.html?sc_sub_section_code=S2N40&view_type=sm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서곡숙

등록일2018-05-05

조회수5,628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스팸방지코드 :